TLS 프로토콜의 최신판인 TLS 1.3 에서 소개된 흥미로운 기능 중에 “왕복 시간 없는 연결 재시작”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것은 TLS 핸드셰이크가 완료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내기 시작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이며, 새 연결을 만들 때 드는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0-RTT 연결 재시작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클라이언트가 이전에 TLS 연결을 맺은 적이 있다면 이전 세션에서 사용했던 정보를 이용해서 처음부터 연결 파라미터를 다시 교환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점은 이 경우 서버에 연결하기 이전에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개인 암호화 키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TLS의 경우 “왕복시간 없음”은 TLS 핸드셰이크 자체만을 의미 합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TLS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여전히 TCP 연결을 만들어야 합니다.
진정한 무왕복 연결
QUIC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사전에 핸드셰이크를 완료할 필요 없이 연결 시작시에 클라이언트가 바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합니다.
QUIC은 이미 전송 계층과 암호화 핸드셰이크를 하나로 통합하여 일반적인 연결에 필요한 핸드셰이크 시간에서 1회 왕복을 줄인 바 있습니다. 핸드셰이크에 드는 추가 왕복 시간을 더 줄임으로 인해 QUIC은 실질적으로 0-RTT 연결 확립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제 더 이상 빨라질 수 없습니다!
클론의 습격
하지만 0-RTT 연결 재시작은 항상 유익하기만 한 건 아니고 주의할 점과 위험성이 있으므로, 클라우드플레어는 0-RTT 연결 재시작을 기본적으로는 설정하지 않습니다. 사용자는 이 기능을 사용하기를 결정하기 전에 관련된 위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0-RTT 연결 재시작은 순방향 기밀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연결에 사용되는 비밀 파라미터 값이 노출되면 재시작으로 만들어진 새 연결의 0-RTT 단계에서 보내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보안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0-RTT 단계 이후에 보내는 데이터, 즉 핸드셰이크가 완료된 이후에 보내는 데이터는 여전히 안전한데, TLS 1.3 (그리고 QUIC)은 핸드셰이크 완료 후 보내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순방향 기밀성의) 보통의 키 교환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더 우려스러운 것은 0-RTT 로 보내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경로에 있는 공격자에게 수집되어서 동일 서버에 몇번이고 다시 보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공격자는 데이터 해독을 할 수 없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며 이것이 0-RTT 연결 재시작이 유용한 점입니다만, 일부 위험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증된 사용자 (HTTP 쿠키나 다른 HTTP 인증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자신의 계정에서 다른 계정으로 송금하기 위해 특정한 API 엔드포인트를 호출하도록 하는 은행 서비스를 가정해 봅시다. 공격자가 0-RTT 연결 재시작이 사용되었을 때의 요청을 가로챌 수 있다면, 암호화에 사용된 비밀 키를 알 수 없으므로 내용을 해독해서 사용자 정보를 얻을 수는 없겠지만, 동일한 요청을 반복적으로 재현하는 것으로 은행 잔고를 바닥나게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이런 문제는 은행 API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멱등성이 없는 요청이라면 단순한 기능 장애부터 심각한 보안 침해까지 원하지 않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위험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플레어는 POST나 PUT과 같은 명백하게 멱등성이 없는 요청에 대해서는 항상 0-RTT 요청을 거부합니다만, 일견 무해해 보이는 요청이라도 오리진 서버에서 알 수 없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고객의 오리진 서버가 0-RTT 연결 재시작시의 요청을 허가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오리진 서버가 이러한 요청을 탐지하고 허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플레어는 RFC8470에 있는 기법을 따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0-RTT 재시작시에 받은 요청의 경우 오리진 서버로 보낼 때 Early-Data: 1
HTTP 헤더를 추가한다는 점을 알아 두세요.
오리진 서버는 이 헤더를 보고 425 (Too Early) HTTP 상태 코드로 응답할 지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응답 코드는 해당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에게 동일한 요청의 재현에 따른 보안 위험이 없도록 TLS 나 QUIC 핸드셰이크가 완전히 종료된 뒤에 다시 보내도록 지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클라우드플레어 Worker 로도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해서 오리진 서버는 브라우저가 연결을 만든 후 일반적으로 가장 먼저 보내는 요청이자 0-RTT가 가장 유용할 웹사이트의 인덱스 페이지와 같이 안전한 요청에 대해서는 응답을 허가 하지만, API나 폼 제출과 같은 다른 엔드포인트는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리진이 이러한 멱등성이 없는 엔드포인트를 갖고 있지 않다면 별도로 해야 할 일은 없습니다.
여러분의 0-RTT를 위한 원스톱 상점
TLS 1.3에 대해서 그랬던 것 처럼 QUIC에서도 이제 0-RTT 재시작을 지원 합니다. 이번에는 클라우드플레어 고객이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해당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정리해서 0-RTT 연결 재시작을 설정할 수 있는 별도의 토글을 제공 합니다. 이 기능은 클라우드플레어 대시보드의 "Network" 탭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TLS1.3과 QUIC (HTTP/3 토글 이용)이 설정된 경우, 0-RTT 연결 재시작 기능을 설정하면 지원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이 되며, 이 기능을 이용하는 연결에는 앞서 설명한 재현 탐지 기능이 제공 됩니다.
추가로, 저희의 오픈소스 NGINX HTTP/3 패치를 이용하고 있다면 패치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에 TLS 1.3 과 QUIC/HTTP3 에서 모두 동작하는 내장 지시어 "ssl_early_data" 옵션을 설정하여 여러분의 NGINX 기반 HTTP/3 서버에도 0-RTT 연결 재시작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This is a Korean translation of an existing post by Alessandro Ghedini, translated by Junho Choi.